미국의 인류학자 예문
예문
- 피오나 이전에 미국의 인류학자 리자 달비가 게이샤를 연구하며 게이샤로서 연회도 참여했었으나 공식 데뷔는 하지 않았다.
- 미국의 인류학자 조너선 마크스는 <인종주의에 물든 과학>에서 미국과 영국 센서스의 인종 분류 양식 중, 아시아인을 서로 다르게 다룬 점을 지적했다.
- ‘극장국가’는 미국의 인류학자 클리퍼드 거츠가 19세기 인도네시아 제의정치와 권력의 스펙터클을 연구하면서 만든 개념으로, 일본의 역사학자 와다 하루키는 이 개념을 김정일의 권력 승계와 연결시켜 북한의 정치구조를 들여다보았고, 한국의 인류학자 권헌익과 정병호는 그들의 저서 <극장국가 북한>을 통해 인류학적 관점에서 북한의 특수한 정치체제와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.